
죽염은 한반도 서해안에서 만든 천일염을 3년 넘게 자란 왕대나무를 잘라 만든 대통 속에 다져 넣고, 깊은 산 황토로 입구를 막은 다음, 쇠로 만든 가마에 넣고 소나무 숯불로 아홉 번을 구워서 만듭니다.
소나무 숯불에 구우면 대통는 타서 재가 되고 소금은 녹았다 굳어 하얀 기둥이 되는데 그 과정에서 대나무 속에 들어 있는 대기름(竹癧)이 불기운에 밀려 소금 속으로 스며듭니다. 굳어진 소금를 다시 가루로 빻아 다른 대통에 넣고 굽기를 여덟 번을 거듭합니다. 한 번 구워낼 때마다 소금 색깔이 점차 회색으로 짙어집니다. 마지막 구울 때 송진을 뿌리고 특별히 만든 쇠로 가마에 1,200~2,000도 온도를 올리면 소금이 녹아 용암처럼 흘러내리고, 소금이 식어 굳으면 하얀 돌덩어리나 얼음덩어리 모양이 되는데 먹기에 편하도록 작은 알갱이나 가루로 만든 것이 죽염입니다.
죽염의 주재료는 모두 한국의 천일염·왕대나무·소나무·황토를 사용합니다. 한반도 서해안에서 난 소금과 한반도에서 자란 대나무가 필요한 약성분이 가장 많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